You know what to do. 😎
Request the symbol you are interested in.
I will take up to 3 requests.
MSFT: B2 Flag
100 Day bottom: 132.17
600 Day bottom: 123.37
If you are holding MSFT,
Stop at 132 then buy back over 133.
If it dips to 123.37, wait until recover back up to 125 before buy.
Buy and hold from that level for the Long Term then accumulate further dip.
AAPL: B2 Flag
For the current holder.
Stop at 199.9
Fundamentally not a good idea to enter now.
Wait until US-China trade war end.
TECS:
It could be 3 or 4.
Potentially....
3 - 9.4
4 - 15.3
Huge swing...either way.
It's your call.
Personally I would avoid this kind of investment though.
At the moment, I like MSFT among these 3: Hands down.
System Wave Chart is Upside Down Chart so it's opposite!
My opinion above is solely based on the system chart.
TERM:
System Main Chart: 1-5 days
System Wave Chart: 2 - 4 weeks.
I will take up to 3 requests.
MSFT: B2 Flag
100 Day bottom: 132.17
600 Day bottom: 123.37
If you are holding MSFT,
Stop at 132 then buy back over 133.
If it dips to 123.37, wait until recover back up to 125 before buy.
Buy and hold from that level for the Long Term then accumulate further dip.
AAPL: B2 Flag
For the current holder.
Stop at 199.9
Fundamentally not a good idea to enter now.
Wait until US-China trade war end.
TECS:
It could be 3 or 4.
Potentially....
3 - 9.4
4 - 15.3
Huge swing...either way.
It's your call.
Personally I would avoid this kind of investment though.
At the moment, I like MSFT among these 3: Hands down.
System Wave Chart is Upside Down Chart so it's opposite!
My opinion above is solely based on the system chart.
TERM:
System Main Chart: 1-5 days
System Wave Chart: 2 - 4 weeks.
12 Comments
Apple for short, please ^^
ReplyDeleteThank you in advance!
XAU please, Thank you!!
ReplyDeleteCan't find your symbol.
DeleteMSFT Please. 모두 모두 감사해요.
ReplyDeleteTECS 요, 감사드려요
ReplyDelete엘님, 부지런히도 답변 주셔서 황공감사합니다!
ReplyDelete애플이 195 밑이 178이네요.. 제가 작년에 이 녀석한테 된통 당하고 다 털고 나왔었어요. 요번에 숏으로 좀 길게 잡고 들어가 볼까 해서요. 돌아 가는 상황을 보면 애플은 한번 훅 떨어질 것 같은데.. 뉴튼을 한번 믿어볼까나요? ㅎㅎㅎ
한걸음님..^^
Delete블루칩은 숏하는 거 아니에요.
블루칩이란 칭호를 쉽게 얻는게 아니거든요. 블루가 레드칩 되는 것은 거의 어려운 일이니...저처럼 하루 보고 숏치고 빠지는 거면 몰라도...롱텀으로 숏하시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 네 엘님... 블루칩은 길게 숏하는건 위험하다는 것 짚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고 보니 기억나네요... 얼마전 구글를 티디에서 오더 잘 못 넣어서 숏으로 사 졌었는데, 오래 끼고 있다가 그것두 참.... 한참 털고 나왔었던 경험이 있네요 ㅠㅠ
Delete아 그러나 애플은 짧게라도 한번 숏을 꼭 해 보거 싶은 이 마음은 뭘까요? 순진했던 저를 완전 물맥였던 넘을 향한 무스븐 복수심 뭐 이런거? ㅎㅎㅎ 애플한테 그 사이 칼을 갈았었나요 이 아줌마?
쿨님의 그 분이 이 이야기를 들으시면 참으로 황당해 하시겠습니다 ㅎㅎ
한걸음님, 애플 아찌 애플은 보험용 풋 옵션으로 쿨하게 냉장 보관 중이라는요~
Delete엘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ReplyDelete제가 엘님의 시스템 따라 거래를 시작한게1월 셋째주였던걸로 알아요..그땐 적은 액수로 진짜 잃어도 될만큼의 돈으로 투자를 하자고 시작을 했었습니다. 2월 둘째주에 휴가를 갔을때도 틈틈히 버딕에 따라 거래를하고 수익률도 계속 상승하더라고요.. 그래서 3월쯤 조금 무리하게 Ira계좌도 건드리면서 투자금액을 늘려 거래를 했었어요.다행히 조금씩의 엎앤다운을 격으면서도 저의 roi는 올라가더라고요..
근데, 문젠 4월부터 가게가 너무 바뻐서 블로그를 못읽는 날들이 있었고 , 나중에서야 hlf가 엘님의 시스템 상에서 디리스트되어진것을 알게 되었죠.. 엘님의 시스템에서 따라 산 거의 모든 종목들이 약간 빠지더라도 조금만 기다리면 항상 올라오던걸 경험해서,hlf를 가지고 있었는데, ----
결국 hlf를 크게 손절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거래를 하기를 결심했습니다.
hvbtf도 계속 떨어져가는데도 불구하고 6월초반 까진 그렇게 나쁘지 않게 시스템을 잘따라같었는데, 6월달부터 산 크론을 사다리 탄다고
하면서 계속 뚱땡이만 만들어서 지금은 총알이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지금 hvbtf가 20% pfe 20% cron 50%정도 그리고 현금 10% 가지고 있어요..
요즘엔 가게가 그렇게 바쁘지 않아서 가끔 장중에도 블로그에 답글을 달을수 있기는 하지만 9월부턴 다시 바쁠것 같아서요..
가게가 바쁘면 3시 30분쯤에 올라오는 버딕뜨자마자 moc order를 넣고 그다음달 stop loss (2.2%)로 걸고 장 마감에 파는 진짜 시스템따라서 거래를 할수 밖에는 없을것 같아요..
엘님께서 저번에 올려주신 글에 보면 cron을 $16 밑이면 롱텀으로 홀드하기에 괜찮은 금액이라고 하셨는데,아직도 그렇게 생각하지는지요?
그렇다면 비록 큰 금액이 묵여 있지만 2-3년 정도 홀드 가능하니깐
가지고 있는 10%정도의 현금으로 엘님의 시스템을 따라 거래를 할지 아님 지금이라도 조금 반등이 오면 지금가지고 있는 것의 30%정도를 팔아 현금을 만들어 시스템을 따라갈지 고민이네요..
엘님..
죄송해요..너무 부담되는 조언을 부탁드린거면 답변 안 하셔도 이해 합니다.
2023님...이렇게 자세히 상황을 설명해주시고 여쭤보신 것은 아주 잘하신 선택입니다.^^
Delete제가 뛰어나거나 대단해서가 아니라...제가 아니라도, 여기에 너무나 자신의 일처럼...발벗고 조언을 해주실 훌륭한 분들이 많기 때문이에요.
먼저 제 버전으로...현재의 상황에 대해서 언급을 하자면...
주식 투자의 방식은 크게는 숏텀과 롱텀 투자.
그리고 숏텀 투자에선 스윙, 데이트레이드, 숏텀 홀딩 등이 있겠죠...
현재 이 블로그의 시스템은 "스윙" 시스템입니다.
거기서 조금 더 시스템을 이용하자면...."숏텀 홀딩"까지 가능하다고 하겠습니다.
복잡해 보이지만...사실, 하루에 대략 10분정도만 시간을 할애하시면 되는...그야말로 최소의 노력만 필요한 방식이죠. 매뉴얼에도 언급하였지만...이런 시스템을 만든 이유는...저 스스로가 풀타임으로 일을 하면서 투자를 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시간만 써서 최대한의 이윤을 내기 위해서 만든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서론이 길었네요...
본론으로 들어가서...
HVBTF는 완전히 롱텀 그러니까...적어도 내년 5월 빗코인 Halving이 있을때까지만 이라도 버텨보시라고 권해요.
만약에 올해 올타임 하이 그러니까...2만불을 다시 넘는 경우가 생긴다면...정리할 기회가 올거에요.
그러니까 그 시기가 올해가 될 수도...내년이 될 수도 있지만.
회사가 파산을 하지 않는 한, 이익내고 빠지실 기회가 분명히 올거라고 예상해 봅니다.
물론...최악의 경우엔(파산), 20%의 손해를 감수하셔야 할 리스크가 분명히 존재는 합니다. 하지만 현재 이 회사의 재정상태로는 가까운 시일내에 그런 일이 생길거란 것을 바라기엔 무리가 있죠. 더군다나 Fidelity도 전혀 돈을 빼지 않은 걸로 알고 있어요.
PFE: 그냥 맘편히 가지고 롱텀으로 생각하셔도 되는 종목에요. 더군다나...현재의 가격에서 손절을 하는 것은 더더욱..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저의 경우, 다른 어카운트에서 롱으로 홀드 중이기도 하고..스윙은 일단 금욜에 손절처리를 하긴 했지만...다시 들어가기 위한 손절이지...완전 Exit하는 손절은 아니에요. 솔직히...회사에 대한 믿음이 옅어지긴 했으나, 여전히 블루칩인 것은 사실입니다.
크론: 아마도 가장 큰 실수가...이 부분 인 것 같아요. 제가 전체 포트폴리오 대비 20%로라고 말씀드린 것은...전체 위험자산을 다 합해서 20%로라고 말씀 드린거죠. 따라서 이미 HVBTF가 20%를 차지하고 있으니...HVBTF를 포션을 낮추고 크론을 매입하셨거나....크론을 매입하지 않으셨어야 합니다. 마리화나 주식은 현재로선 남아있는 Catalyst가 두가지입니다.
미국의 합법화 그리고 각 회사들의 영업이익 실현.
미국의 합법화는 언제 실현될지 아무도 모르니...일단 제외하고.
회사들의 영업이익은....
현재 캐쉬비중으로 가장 좋은 포지션에 있는 두 회사가...이견이 없이 CGC와 크론이겠죠.
현재 마리화나의 리테일 가격이 내려가고 있습니다.
Competition때문이죠.
리테일 가격의 하락은 펼연적으로 마진율의 하락이 따라옵니다.
따라서 영업이익률의 저하가 발생하겠죠.
그렇기에 캐쉬비중이 적은 회사들부터 도산을 하거나, 합병이 되는 수순을 밟게 될 것 같습니다.
시장이 몇몇 큰 플레이어들로만 재편이 되면...
리테일 가격은 안정을 찾을테고...
그 회사들 중에서 가장 innovative한 생산시설을 갖춘 회사가 최후의 승자가 되겠죠.
크론은 예전에 제가 애플과 비교를 한 적이 있는데..
다른 마리화나 회사들과는 틀리게...지적재산과 CBD 오일등 마진율이 높은 제품에 대한 연구와 합병을 중점적으로 발전시킨 회사입니다.
아직은 CBD나 헴프의 마켓 자체가 그리 크지 않지만....
미래 지향적인 회사라고 생각해요.
가장 큰 어드벤티지는...물론 Altria와의 연대겠죠.
세계 최대 담배회사의 넷트웍과 판매루트 그리고 시너지.
더 이상 말 할 필요가 없을 정도의 어드벤티지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크론에 50프로 투자는 너무너무 과하다 하겠습니다.
정리 들어가겠습니다.
만약 제가 같은 처지에 있다면...
저라면:
HVBTF: 홀드. 언제든 주가가 원래대로 돌아왔을때 절반 정리.
PFE: 위와 동일. 적금 부었다고 생각하시고...Dividend 받으세요. 그리고 내년에 Mylan 지분 같이 받으시면...이 종목은 어차피 손해는 아닙니다. 단지 돈이 묶여있다는 것이 함정인데...현재 20%정도의 비율 뿐이므로...롱으로 홀드하기에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크론: 현재로선...지금의 가격에 손절하기엔 가격이 너무 낮아요. 그렇지만...주식은 어디로 움직일지는 개런티가 없기 때문에...이제라도 스탑을 걸어두심 좋겠습니다. 금요일 기준...주가가 조금이라도 반등하면...4분의 1로 나눠서 조금씩 스탑걸고 처분하시면 좋겠어요. 그래서 전체 포폴대비 20%밑으로 낮추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16불은 두어달이면 충분히 다시 올라올 수 있는 가격이라고 생각은 하지만...보다 정확한 판단은 9월이 되어야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보통 9월부터 연말까지가 마리화나 섹터가 Seasonally 항상 강세였던 시기이기 때문에...그렇습니다.
뭔가 확실한 솔루션이 없다고 들리실 수도 있겠으나...
그 만큼, 현재의 보유종목과 Allocation이 너무나 위험자산에 치중되어있어서...(70%), 쉽지 않네요.
이번의 경험을 타산지석 삼아서...
"스탑"의 생활화를 꼭 지키시길 바랍니다.
스탑은 롱텀 스윙, 숏텀등 투자 방식에 상관없이 무조건 걸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화이팅!!!
엘님
ReplyDelete감사합니다 ^^
스텝의 생활화 꼭 명심 하겠습니다
Post a Comment